실험동물

실험동물 1탄 - 실험동물의 복지 3R

동찌 2021. 10. 15. 12:00

저는 동물에 매우 관심이 많습니다.

모든 동물에게 말이죠. 

그렇다고 동물에 대한 지식이 매우 깊다는 뜻은 아니에요.

그저 관심이 많아서 궁금한 것을 찾아보고 이해하려는 편입니다.

 

그 중 실험동물의 존재 이유는 어느정도 알겠고, 

필요하다는 것도 알겠어요.

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비누 샴푸 팩 세제 페인트 손소독제 비상약 전문의약품 모든 것이 

실험동물의 고귀한 희생이 아니었으면 탄생하기 힘들었을테니 말입니다.

 


그럼 동물실험이 뭘까?

일반적으로는 "동물실험"이라 하면 동물을 이용한 과학실험이지만,

정확하게는 " 과학의 목적으로 동물을 이용하는 행위" 

즉, 실험(Experiment) / 시험(Testing) / 실습(Exercise) 을 모두 포함합니다.

현재, 행활용품, 화장품, 의약품, 식생활, 군사실험 등등 많은 분야에 사용되고있습니다.


그럼 동물실험은 꼭 필요할까?

인간이 먹는 약, 생필품, 화장품, 소독제, 농약 등등 인간이 직접 접촉하는 것들 등등 

인체에 주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동물실험을 완료 한 후 유통이 되는 것입니다.

 

또한 난치병의 치료법 혹은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서

인간의 질병과 유사한 병적 상태를 보이는 동물을 만들어 개발을 진행하고있습니다.

 

하지만, 인간과 동물은 유전자가 달라서 같은 질병은 단 1.16% 뿐이고

세계 보건기구에 따르면 동물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4만 여개의 의약품 중

효능이 있다고 확실히 밝혀진 의약품은 단 220여개 뿐 입니다.

윤리적이지는 않지만 

 

아직은 

"현실적으로 동물실험을 대체 할 방법이 많지 않으며"

--> 세포단계의 실험은 현재 동물실험보다 신뢰도가 떨어져 실험의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습니다.

 

"동물실험 반대론자들이 주장하는 미생물 실험은 신뢰도가 매우 떨어지며"

--> 미생물 단계의 실험도 마찬가지로 신뢰도가 매우 떨어져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습니다.

 

"신체 기관 유래 질병인 위궤양, 대장암, 신장질환 등등 동물실험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."

--> 세포나 미생물 혹은 돼지피부 등등 대체 실험의 종류는 실제로 위,대장,신장과 같은 신체 기관을 가지고 실험하는 것이 아니라 한계가 있습니다.

 

ex. 위 궤양 신약을 개발하는데, 위를 가지고 있는 쥐를 이용하여 실험을 하면 신뢰도가 높아지지만 돼지 피부로 하면 돼지피부는 위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집니다.


궁금해서 알아 본 실험동물 복지 3R

실험동물의 복지에는 3R이 가장 기초가 됩니다.

 

3R이란

1. Replacement(대체)

세포 또는 조직배양 모델로 동물실험을 대체한다.

 

2. Reduction(감소)

유용한 목적에 활용하고, 통계적으로 유의한 즉 믿을 만한 자료를 산출 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동물을 사용

 

3. Refinement(개선)

실험의 절차를 정교화하고 마취제 등을 사용하여 동물의 고통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줄여 동물의 처우를 개선해야함.

 

동물실험은 답이 참...어려운 것 같습니다.

다루기 민감한 주제 인 것 같기도 합니다.

하지만 이런 주제 일수록 더욱 알아보고 관심을 가진다면

분명히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하리라 생각합니다 :)